현재 정부에서는 청년들의 주거비용 부담을 줄이면서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마련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청년 전세자금대출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각 상품마다 자격조건 및 지원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아래에서 자세한 청년전세대출 조건, 금리 및 한도 정보를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청년 전세자금대출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은 주택도시기금의 개인상품 중 청년전용 전세자금대출로 전세자금이 부족한 청년들에게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을 대출해주고 있습니다.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대출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은 주택도시기금의 개인상품 중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로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들에게 저리의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을 대출해주고 있습니다.

LH 전세자금대출

LH 전세자금대출은 내집마련하기 힘든 요즘같은 상황에서 정부와 LH한국토지공사에서는 이러한 상황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저소득계층의 국민들과 무주택자인 국민들에게 다른곳보다 저렴한 형태로 전세자금을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청년 맞춤형 전세자금대출

청년 맞춤형 전세대출은 국민은행을 포함하여 기업은행, 농협,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경남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카카오뱅크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전세사기 피해 예방방법]

  1. 임대차 계약 전 건축물대장, 등기사항증명서 등을 꼼꼼히 살피고 등기사항증명서 상의 소유자와 계약자가 동일인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2. 임차물건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이 너무 높지 않은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3. 계약 체결 전 미납 국세 열람제도를 활용하거나 국세·지방세 납부증명서(완납증명)를 임대인(소유자)에게 요구해 세금 체납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4. 계약 체결 후에는 잔금 지급 전 등기사항증명서를 확인해 선순위 권리관계 등을 다시 확인해야 하며 주택점유와 전입신고를 통해 대항력도 확보해야 합니다.
  5.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가입, 전세권 설정 등 임차인 보호장치를 활용해 보증금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